[자본주의 연구] 카피캣 논란, 카피캣 뜻과 사례 알아보기 - Copycat
- ‘카피캣-Copycat' 이라는 단어는 음악 뿐만 아니라 영화, IT 등 산업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많이 쓰이는 단어입니다.
최근 걸그룹 간의 카피캣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데
과연 카피캣 뜻은 정확하게 무엇인지 또 어떤 사례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카피캣 뜻
- 카피캣의 어원은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 어미 고양이가 사냥을 하는 모습을 본 새끼 고양이가 어미의 사냥 기술을 따라하는 모습을 보고 '카피캣' - Copy + Cat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요,
새끼 고양이가 어미 고양이를 따라하는 것처럼 카피캣을 '다른 사람을 따라하는 사람', '흉내쟁이' 라고 보시면
카피캣의 뜻이 쉽게 이해되실 것 같습니다.
- 카피캣 이라는 단어는 음악, 영화 등의 예술계부터 경영학, 경제학과 같은 학술계까지 넓은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경영학에서의 카피캣, 패스트 팔로어와의 차이점
- 경영학에서 카피캣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 디자인 등이 초기에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하면 다른 기업에서 기존 회사의 서비스, 디자인을 모방해서 유사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는 것' 을 의미합니다.
- 다른 회사를 따라하는 경제 용어로 '패스트 팔로어'가 있지만
카피캣은 초기 회사의 디자인, 마케팅 방법 등을 모두 따라해 기존 제품과 차이가 거의 없는 제품을 만드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패스트 팔로어는 기존 퍼스트 무버, 기존 회사들의 개선 사항을 반영해 고객을 모집하는 것
등이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특히 카피캣 현상은 IT, 패션, 음악 등 빠르게 변화하는 패스트 마켓에서 많이 나오는 현상인데
대표적인 사례는 어떤게 있을까요?
카피캣 사례
1. 스토리 기능
- 스냅챗(Snapchat) 에서 사용하고 있던 기능이었던 '스토리'
- 사진을 특정인에게 보내는 것이 아닌 대중에게 공개하는 기능이었던 스냅챗의 '스토리' 기능을
인스타그램은 2016년 'Instagram Story' 로 도입합니다. (저커버그는 스냅챗을 매입하려고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 인스타그램을 창업한 '케빈 시스트롬'은 스냅챗의 스토리 기능을 모방해 인스타그램에 도입한 사실을 인정했고
인스타그램은 스토리 기능을 도입한 이후 출시 8개월 만에 스냅챗 이용자 수를 넘어섰고,
1년여 만에 이용자수 2억5천만 명, 그리고 도입한지 1년 6개월 만인 28일에는 이용자수 4억 명을 돌파했습니다.
2. 헤이티 커피
- 중국에서 유명한 차(茶) 브랜드인 '헤이티(HEYTEA)'의 카피캣은 싱가포르의 '히티(HEETEA)' 가 있습니다.
- 차를 마시는 모습의 중국 헤이티 캐릭터를 싱가포르 히티 캐릭터가 그대로 따라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 역시 카피캣의 한 사례로 들 수 있습니다.
- 또한 폰트 역시 "A", "E" 자의 유사성을 보면 히티는 헤이티의 카피캣이라고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카피캣과 관련한 사례들이 굉장히 많은데 카피캣 뜻과 사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