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연구] 코리아 밸류업이란 지수 뜻과 선정기준, 100개 기업 리스트 종목 발표 논란
- 한국거래소가 '기업가치 우수 기업'으로 구성된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종목과 선정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한국거래소는 한국 상장 기업이 외국 상장 기업과 비교해 주식 가치가 낮게 평가되는 것에 대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해온 정책인데,
이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 코리아 밸류업과 밸류업 지수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 기업 밸류업 (Value-up) 이란 '코리아 밸류업 지수'이 정식 명칭으로 '저평가 된 대한민국 증시를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는 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의 뜻을 갖고 있고
2024년 2월 도입을 발표한 프로그램입니다.
- 2024년 7월, 기획재정부는 주주환원 증대를 위해 법인세, 배당소득세, 상속세와 관련된 세제혜택을 발표했는데
주요 혜택으로는 주주환원 증가분에 대한 법인세 세액공제, 배당소득세율 인하, 최대주주 상속세 할증평가 폐지가 포함되었고
기준 시점과 기준 지수는 각각 2024년 1월 2일과 1000포인트로 정해졌습니다.
- 한국거래소는 밸류업 기업 선정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1. 시가총액과 수익성
2. 주주환원 정책
3. 주가순자산비율(PBR) 전체, 산업군 내 50% 이내
4. 자기자본이익률(ROE)
- 다음과 같은 기준 이외에도 밸류업 지수 구성 종목이 되려면 우선 전체 주식 시장 시가총액 상위 400위에 들어가야 하며 최근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거나 2년 합산 손익이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후보 종목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리고 100개의 기업이 밸류업 종목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구성종목은 코스피(유가증권) 기업 67개 종목과 코스닥 33개 기업이 분포되어 있으며
2024년 9월 24일 최초로 코리아 밸류업 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 그리고 6일이 지난 2024년 9월 30일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실시간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 그렇다면 밸류업 종목에는 어떤 카테고리가 있을까요?
코리아 밸류업 종목, 카테고리
- 코리아 밸류업 종목은 다음과 같이 9개 카테고리로 선정되었으며 선정기업 수 역시 다음과 같습니다.
▲정보기술(24개)
▲산업재(20개)
▲헬스케어(12개)
▲자유소비재(11개)
▲금융‧부동산(10개)
▲소재(9개)
▲필수 소비재(8개)
▲커뮤니케이션(5개)
▲에너지(1개)
- 정보기술이 총 24개의 기업으로 가장 많은 기업을 보유한 종목이며 에너지는 1개(에쓰오일) 만이 편입되어 가장 적은 종목입니다.
100개 기업 리스트
-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한미반도체
- HMM
- 대한항공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두산밥캣
- HD현대일렉트릭
- LIG넥스원
- 한전KPS
- 셀트리온
- 기아
- 고려아연
- 미래에셋증권
- 메리츠금융지주
- 삼성화재
- 삼양식품
- 신한지주
- 엔씨소프트
- 오뚜기
- 오리온
- 우리금융지주
- 종근당
- 제일기획
- 키움증권
- 한미약품
- 한솔케미칼
- 현대차
- 현대해상
- S-Oil
- F&F
- BGF리테일
- DB손해보험
- 효성첨단소재
두산밥캣과 엔씨소프트가 눈에 띄네요.
밸류업 지수 발표 논란
- 하지만 발표 후 밸류업 지수에 대한 논란이 계속해서 일고 있습니다.
밸류업 지수 발표 주요 논란은 지수 구성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라는 본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점이며, 이와 관련해서 논란에 대한 세부 내용을 더욱 알아보겠습니다.
1. 고배당 종목 제외 : KB금융과 하나금융지주와 같은 대표적인 고배당 종목들이 지수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2년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상위 50%'라는 기준 때문인데, 이로 인해 실제로 주주 가치를 높이는 기업들이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2. 주주환원에 소극적인 기업 포함 : 엔씨소프트,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 등 그동안 주주환원에 소극적이었던 기업들이 지수에 포함되었습니다. 특히 SM엔터테인먼트는 경영권 매수와 관련해 많은 논란이 일었던 기업이기에 많은 논란이 일었습니다.
3. 고평가 기업 편입 : PBR이 매우 높은 기업들(예: 한미반도체 18배, 포스코DX 9.8배)이 다수 포함되었습니다. PBR 4배 이상인 기업이 17개에 달하는 등, 이미 시장에서 높게 평가받는 기업들의 편입은 지수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4. 단순한 선정 기준 : 배당과 자사주 소각 여부만을 고려한 기준이 너무 단순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편입된 100개 종목 중 절반 이상이 배당 수익률 2% 미만, 배당성향 20% 미만으로 나타났습니다.
5. 특정 산업 편중 우려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높은 비중으로 인해 지수가 결국 반도체 산업 지수와 유사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 전 밸류업 편입 기업이 유출됐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데,
과연 이런 논란을 딛고 기업 밸류업 지수가 우상향 곡선을 그릴지 궁금해지네요
미국 연준 금리 0.5%인하 빅컷 결정, 빅컷이란 뜻과 이유 한국 금리 비교와 집값은?
-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 이 금리를 내리기로 했습니다. 금리는 무려 0.5%를 인하했는데요, 코로나 이후 4년 반 만에 인하하는 금리이며 이러한 금리 인하는 이른바 '빅 컷'으로 불립니다. -
capitalismlab.tistory.com
금리 인하 바이오, 그리고 곽튜브 이나은 논란 '에이프릴바이오' 테마주란 특징 뜻
- 금리 인하 시 수혜를 보는 주식 테마는 '바이오'입니다. 미국 연준 금리 0.5%인하 빅컷 결정, 빅컷이란 뜻과 이유 한국 금리 비교와 집값은?-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 이 금리를 내리기로
capitalismlab.tistory.com
[싱글벙글 코리아] 국세청 세무조사하는 이유? 출석요구 기간 대응 방법 유재석 후기
- 연예인 유재석 씨가 2024년 6월부터 7월까지 세무조사를 받았지만 무탈히 끝났습니다. - 유재석 씨는 2023년 12월 안테나엔터테인먼트 인근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토지 298.5㎡(90.3평)
capitalismlab.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