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벙글 글로벌

[싱글벙글 글로벌] 일본은행, 17년만의 금리 인상 - 일본 금리인상에 따른 주가와 환율은 어떻게 될까

자본주의 연구소장 2024. 3. 18. 18:16
728x90
반응형

 

 

 

 

  -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2024.3.18~19일 이틀 간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마이너스 금리 해제'‘수익률 곡선 관리’(YCC) 정책 폐지 를 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일본이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 일본은 '잃어버린 30년' 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는 장기간 디플레이션 경기 침체에 시달려 왔다. 

 

 

 

 

 

 

 - 이에 일본은행은 1990년대 후반부터 금리를 낮추는 정책을 시행했는데,

 

2016년부터는 단기금리 -0.1% 동결, 장기금리는 0% 대로 유도하는 금융완화 정책을 펼쳐왔다.

 

 

 

 - 이러한 초저금리 정책을 통해 일본은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고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며 일본 기업들의 수출에 큰 호재를 불렀다.

 

 

 

 -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해제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하고 금리 인상을 하는 이유

 

 


 -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저축 촉진, 소비 감소, 투자 감소, 화폐 가치 상승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금리 인상 효과

 

저축 촉진 : 금리 인상 → 예,적금 이자 증가 → 저축 선호


소비 감소 : 저축 선호 → 소비 감소 


투자 감소 : 기업 대출 이자율 ↑ → 투자 비용 증가 → 기업 투자 비용 감소


화폐 가치 상승 

 

 

 

 

 

 -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해제, 금리 인상을 하는 이유는

 

2024년 일본의 물가상승률이 일본은행의 목표치인 2%를 웃돌고, 기업의 임금인상률 또한 5%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보여서이다.

 

 

 

 

 

 

 

 - 일본은행은 계속해서 안정적인 임금인상과 물가상승률을 꾀했었는데

 

임금인상, 물가상승률 두 지표 모두 일본은행의 목표치에 다다름에 따라 선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에 금리인상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이렇게 일본이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주가와 환율은 어떻게 될까?

 

 

 

 

 

 

 

일본 금리 인상과 주가, 환율

 

 

 

 - 우선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일본의 닛케이225 지수는 1주 동안 약 2.5% 정도 하락했다.

 

2024.03.18 기준

 

 

 - 하지만 일본은행이 이번 금리 인상 후에도 금융 완화정책을 한동안 유지하겠단 자세를 강조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일본은행의 급격한 통화정책에 따른 불안감 또한 해소될 것으로 보이고

 

디플레이션 탈피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리며 닛케이225 지수는 2주만에 최고가를 찍게 되었다.

 

 

 

 - 일반적으로 금리가 인상하게 되면 투자 증가 - 화폐 수요 증가, 화폐 가치 상승 등의 영향으로 환율이 하락하게 되는데

 

현재 엔-달러 환율이 149엔대의 엔-달러 환율은 점차 하락하여 연말에는 140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까 한다.

 

 

 

한 줄 코멘트 : 일본 잃어버린 30년 탈출 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