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벙글 코리아

[싱글벙글 코리아] 서울 부동산이 불패인 이유, 다산 정약용의 혜안

자본주의 연구소장 2024. 10. 30. 14:34
728x90
반응형

 

 

 

 - 다산 정약용 선생은 두 아들에게 보여준 가훈으로 '절대로 서울을 벗어나 살지 마라' 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 또한 지방에서 거주하면서 자치단체장을 하고 있는 국회의원 역시 서울에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국회의원이 많은데

 

서울 부동산은 '불패'가 아닐까 싶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서울 부동산은 '불패'라고 생각하는데,  서울 지역 부동산, 특히 아파트의 지속적인 가치 상승과 안정성'을 의미하는 용어로

 

부동산 시장에서 서울 아파트의 독보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서울 부동산 불패 요인은 다음과 같이 4가지 요인을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수도권 집중화 현상

2. 교육 프리미엄

3. 주택 공급난

4. 투자 안정성

 

 

1.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인구와 경제력이 지속적으로 서울 및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안정적인 수요를 창출하고 있고,

 

이는 고령화 시대에도 불구하고 서울 지역 부동산에 대한 수요를 꾸준히 유지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2. 교육 프리미엄은 한국의 높은 교육열과 서울 지역의 우수한 교육 인프라가 결합하여 서울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고 있으며,

 

초/중등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사교육 의존도가 서울 아파트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는데

 

목동/대치동/중계동과 같은 학원가 밀집 지역은 높은 아파트 값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공급 부족은 서울의 만성적인 현상으로 2025년 둔촌주공(올림픽파크포레온) 을 제외하면 서울에 대규모 공급은 당분간 중단되는데,

 

이러한 공급 부족은 서울 아파트의 희소성을 높이며 가격 상승을 뒷받침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서울 집값은 계속해서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서울 아파트는 다른 투자 자산에 비해 수익률은 유사하면서도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며 서울 부동산 시장의 불패 신화를 강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대기업 본사, 정부 기관 등 핵심 인프라가 서울/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방에 비해 훨씬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고


서울을 금융의 허브로 만들려는 서울시의 계획을 미루어 볼 때 금융자산 또한 서울로 쏠리게 되었습니다.

 

우리 모두 서울에 등기 칩시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