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플레이션', 그리고 '디플레이션'
아마 이 단어는 경제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많이 들어보고 알고 있는 단어가 아닐까 합니다.
- 금리 인하 시기가 점차 요원해지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뜻과 원인, 해결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 뜻
- 인플레이션이란 일정 기간 동안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동일한 금액으로 전보다 적은 양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되는 구매력의 하락을 뜻하는데
- 1970년대 100원으로 사먹을 수 있던 짜장면이 2020년도에는 7000원에 사먹을 수 있게 된 것처럼
인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상승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의 원인에는 어떤 원인이 있을까요?
2. 인플레이션 원인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수요, 공급, 기대 인플레이션까지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1) 수요 측면 인플레이션
- 수요 측면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은 경제 내 총 수요가 총 공급을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 코로나 시기 양적 완화와 같은 정부 지출 확대, 이로 인한 소비자들의 구매력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이로인해 경제 내 총 수요가 총 공급을 초과하게 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2) 공급 측면 인플레이션
- 공급 측면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은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 등으로 인한 원자재 수급에 문제가 생길 때 발생하는 원자재 비용 증가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노동비 증가 등의 요인 등으로 인해 공급이 감소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 생산 비용의 상승됨에 따라 기업은 부담을 다소 줄이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급이 감소하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3) 기대 인플레이션
-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미래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여 가격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데,
더 많은 돈이 풀리고 결국 자산은 오를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의 가격 또한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3. 인플레이션 해결방안
- 그렇다면 물가가 오르는 현상인 인플레이션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은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
경제 주체인 정부와 개인은 각각 다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정부 인플레이션 대처 방안
- 정부의 대처 방안은 금리 인상, 지출 축소와 같은 2가지 방안으로 인플레이션을 대처할 수 있습니다.
금리를 인상하여 대출 억제와 유동성 회수, 수요를 감소할 수 있고
정부 지출을 축소하여 인플레이션에 대해 대처할 수 있습니다.
개인 인플레이션 대처 방안
- 개인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까요?
- 우선 금, 우량주와 같은 안전 자산에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은데, 요즘은 비트코인 또한 안전 자산의 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또한 고정 금리로 대출을 받아 실물 자산에 투자하는 것 또한 인플레이션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생활비 절약과 추가 수입원 모색 또한 개인이 인플레이션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 인플레이션과 반대되는 뜻인 '디플레이션'은 어떤 현상일까요?
4. 디플레이션 뜻
-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달리 '일정 기간 동안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1000원으로 1개만 살 수 있던 과자가 동일한 1000원으로 2개, 3개를 살 수 있게 되는데
이전보다 더 많은 양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현상입니다.
5. 디플레이션 원인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대표적으로는 2가지 원인을 꼽을 수 있습니다.
1) 수요 측면 디플레이션
- 부채 축소에 따른 자산 가치 하락과 이로 인한 경제의 불확실성, 소득 감소 등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며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면서 물가가 하락합니다.
2) 과도한 공급
- 애플의 아이폰처럼 기술 발전으로 인해 생산 효율성이 증가하면 일시적으로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물가가 하락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효과로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6. 디플레이션 해결방안
- 디플레이션의 해결방안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라고 생각하면 쉬운데요,
적극적인 대출 정책, 세금 감면 등과 같은 정책을 통해 소비와 투자 수요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수요 촉진을 통해 디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한 단계를 밟아나갈 수 있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돈이 많이 풀리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모두 성공투자, 안전하게 자산을 지키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본주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 연구] 압구정, 여의도, 목동, 성수동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뜻과 매매, 갭투자, 대출 가능 여부? (0) | 2024.04.19 |
---|---|
[자본주의 연구] 달러 환율 1400원 터치, 환율의 상승과 하락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수출 관련주 (0) | 2024.04.17 |
[자본주의 연구] 2023년 모나미 10년만에 적자 - 모나미코스메틱과 모닝글로리 (1) | 2024.03.28 |
[자본주의 연구] 2024년 3월 GTX-A노선 개통 예정 - 노선별 개통시기, 요금, 시간표까지 총정리 (2) | 2024.03.25 |
[자본주의 연구] 엔비디아 GTC 2024 개최 - 뜻, 스폰서십 등급, 참여 한국 기업 알아보기 (1)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