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과 관련하여 실형을 선고받았던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광복절 특사(특별사면)로 복권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뿐만 아니라 과거 문체부 블랙리스트 사건과 관련하여 실형을 살았던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도 복권될 가능성이 높아보이는데
두 명이 과연 박탈된 피선거권을 되찾을 수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사면과 복권의 뜻과 차이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사면과 복권의 뜻
사면 (赦免) 뜻
- 우선 사면의 뜻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 사면은 정부가 특정 범죄에 대해 형벌을 면제하거나 감경하는 조치인데
사면이 이루어지면 범죄에 대한 형사 처벌이 면제되거나, 이미 부과된 형벌이 경감됩니다.
사면의 종류
- 사면의 종류에는 일반사면과 특별사면이 있습니다.
일반사면
- 일반사면은 특정 범죄 자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 범죄를 저지른 모든 사람에게 형벌을 면제하는 조치입니다.
특정한 범죄행위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그 범죄와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데,
범죄 행위에 대한 처벌 자체가 사라지게 되고 범죄 기록이 남지 않게 됩니다.
- 일반사면은 법률에 의해 이루어지며, 대통령이 이를 발동할 수 있지만 국회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특별사면
-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 집단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개인의 범죄 경력이나 형벌을 사면 또는 감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특별사면이 이루어지면 개인에 대한 형벌이 면제되거나 감형되며 형 집행이 중단되는데 조금 더 빨리 출소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사면의 대표적인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면의 대표적인 사례
사면은 주로 정치적인 이유로 많이 진행되곤 했습니다.
사면의 대표적인 4가지 사례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사면 (1997년)
- 전두환과 노태우 전 대통령은 군사 쿠데타와 12·12 사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 등으로 인해 내란 및 반란 혐의로 기소되어 각각 무기징역과 징역 17년형을 선고받았습니다.
- 1997년, 김영삼 대통령은 국민 통합과 정치적 안정 등을 이유로 두 전직 대통령을 특별사면했습니다. 이 사면은 당시 한국 사회에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나, 정치적 안정과 국민 화합을 목표로 단행되었습니다.
2.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2022년)
- 이명박 전 대통령은 뇌물 수수와 횡령 등의 혐의로 2018년 기소되어, 2020년 대법원에서 징역 17년형이 확정되었습니다.
- 2022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은 이명박 전 대통령을 건강상의 이유와 사회 통합을 이유로 특별사면했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은 정치적 논란을 일으켰지만, 고령의 건강 상태를 고려한 조치로 해석되었습니다.
3.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2021년)
- 박근혜 전 대통령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인해 2017년 탄핵되었고, 이후 뇌물 수수,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22년형이 확정되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은 2021년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을 특별사면했습니다. 사면 이유로는 국민 통합과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 건강상의 문제 등이 언급되었습니다.
4. 김대중 전 대통령 사면 (1981년)
-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을 주도하다가 내란음모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습니다.
- 1981년, 전두환 대통령은 김대중 전 대통령을 특별사면하여 형을 감형하고 미국으로의 망명을 허용했습니다. 이는 국제 사회의 압력과 정치적 이유로 이루어진 사면이었습니다.
사면에 대해 2줄로 요약해보자면
일반사면: 특정 범죄에 대해 모든 사람에게 형벌 면제, 법률에 의해 이루어지며 국회 동의 필요
특별사면: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해 형벌을 면제하거나 감경하는 조치.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
하지만 특별사면의 경우 범죄 기록이 그대로 남고, 형사 처벌로 인해 상실된 자격(선거권 등)이 자동으로 회복되지는 않을 뿐더러 자격 회복을 위해서는 별도로 '복권'이라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복권 (復權)
- 복권은 형사 처벌로 인해 상실된 자격을 회복시키는 조치입니다.
주로 상실되는 자격은 '선거권'이나 '공무담임권' 같은 법적 권리인데
복권이 될 경우 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 피선거권, 공무원으로 임명될 수 있는 공무담임권 등의 법적 권리를 다시 행사할 수 있게 됩니다.
- 일반적으로 복권은 사면과 함께 이뤄지기도 하지만
특별사면의 경우에는 사면만 되고 복권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별도의 복권 조치가 필요합니다.
사면 복권 차이점
- 사면과 복권의 차이점은 한 줄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사면은 형벌을 면제하거나 감경하는 것이고, 복권은 형벌로 상실된 권리나 자격을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2022년 말 이미 사면이 됐지만 복권이 되지 않았기에
선거권이 박탈된 상태입니다.
- 과연 이번 광복절 특사 복권대상에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포함될지 궁금해지네요.
감사합니다.
'싱글벙글 코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글벙글 코리아] 국민내일배움카드 뜻 지원 자격 지원 금액, 대학생 신청방법 후기 (0) | 2024.08.11 |
---|---|
[싱글벙글 코리아] 지금 부동산은 얼죽신 시대 열풍 , 몸테크 얼죽신 뜻과 공사비 신축 아파트 선호 이유 (0) | 2024.08.09 |
[싱글벙글 코리아] 2024년 블랙먼데이 - 코스피 코스닥 사이드카 발동, 뜻과 발동 조건 (6) | 2024.08.05 |
[싱글벙글 코리아] 불붙은 서울 집값과 상승 이유, 그리고 차가운 지방의 아파트 가격 차이 (1) | 2024.08.01 |
[싱글벙글 코리아] 로또청약 동탄역 롯데캐슬 입지 청약방법 분양가 전세 실거주의무 경쟁률 (0) | 2024.07.29 |